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

뚜렛증후군 틱장애 증상, 원인, 치료 방법

반응형

틱은 아이들이 특별한 이유 없이 자신도 모르게 몸을 움직이거나 소리를 내는 것을 말해요. 지속적인 감기 치료나 알레르기 치료에도 이런 버릇이 몇 달간 계속된다면 틱장애를 의심해봐야 합니다. 아이들이 자라면서 아동기에는 누구나 이상한 버릇을 보일 때가 있어요.

 

뚜렛증후군

소년

 

틱장애 원인

 

전문가들은 틱장애 발생 원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뇌 기능 이상으로 보고 있습니다. 특히 전두엽 부분에서 발생하는 조절 능력 저하로 인해 근육이나 음성기관이 본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움직이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뇌 엑스레이를 촬영하면, 뇌 사진에 적색으로 표시가 됩니다. 뇌 기능이 원활하지 않다는 증거입니다.

 

틱장애 증상

 

틱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이나 어른이 있다면 사랑으로 감싸줘야 합니다. 화를 내면 상태는 더 악화될 뿐입니다.틱장애는 강박증도 동반합니다. 강박증도 생각하는 강박, 행동하는 강박이 있는데 이 것도 자신의 몸에 찾아오면 상당히 괴롭습니다.

 

몸을 제어하기 힘들거든요. 그래서 항상 긍정적인 생각과 행복한 에너지를 만들어야 합니다.이 경우 스트레스도 중요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아이는 이렇게 태어나고 싶어서 나온 게 아닙니다.

 

운동 틱과 음성 틱

 

단순 운동 틱은 눈 깜빡거리기, 눈알 움직이기, 얼굴 찡그리기, 머리 흔들기, 팔이나 어깨 움찔거리기 등의 형태로 나타나는데, 모든 틱 장애의 초기에 가장 흔히 발견되는 증상들 입니다.

 

복합 운동 틱에는 자신을 치는 행동, 갑자기 뛰어오르는 행동, 의미 없이 물건을 만지는 행동 등이 포함됩니다. 단순 음성 틱은 주로 가래 뱉는 소리, 킁킁거리는 소리, 기침소리, 침 뱉는 소리 등을 포함하는데, 때로는 상황과 전혀 관계가 없는 단어나 구 등, 예를 들면 "옳다", "입 닥쳐" 등의 거친 말을 반복적으로 보이는 복합 음성 틱을 보일 수 있으며, 반향어 또는 외설증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보통 정서적으로 불안한 상황이나 컴퓨터 게임처럼 흥분하는 상황에서 증상이 악화됩니다. 환아는 처음에 틱을 전혀 감지하지 못하다가, 10세 정도 되면 틱이 시작되기 전에 특정한 느낌이 오는 것을 알게 되기도 합니다.

 

틱장애 치료

 

어린 아동일 경우 틱장애를 고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성인까지 이어졌다면 고친다기보다 완화라는 표현이 더 맞는 것 같습니다.

 

만일 미래에 치료제가 나온다면 말은 다르겠지만, 현재까지 치료제는 없습니다. 뇌가 성장하지 않은 아동일 경우 만성이 되기 전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효과적인 것은 운동입니다.

 

부모님이 아이에게 억제시키지 않고 밖에서 운동을 자주 시켜야 됩니다. 산소를 들이마시면서 뇌가 활성화되고 자연스레 이완요법까지 되며 답답함을 느끼지 않게 됩니다.

 

약물치료 행동치료 등이 있습니다. 약물은 전문 의약품인 아빌리파이정, 프로작 등이 있습니다. 한방치료로 한약을 복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틱 증상은 일부러 또는 고의적으로 증상들을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므로 아이를 혼내거나 비난하고 놀리고 지적하는 것은 하지 말아야 합니다. 그리고 오히려 증상들이 나타났을 때 무시하거나 관심을 주지 않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학교생활을 시작하게 되면 선생님과 친구들에게 아이에 대해 넉넉하게 설명해 주어 아이의 자존감이 내려가지 않도록 긍정적이고 밝은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줍니다.

 

소아정신과 의사들은 자세한 의학적 평가를 통하여 틱 장애 그리고 이에 수반될 수 있는 다양한 정서, 행동, 학습의 문제를 밝혀 적합한 조치가 필요로 합니다.

 

틱이 이어지는 경우, 아동에게 반드시 하지 말라고 강요 구하는 대신, 아동이 마음을 편하게 가질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틱 증상들을 빠르게 사라지게 하는 방법입니다.

 

부모가 모든 것을 감싸주지 않으면 안 됩니다. 부모가 스트레스 받는다고 아이에게 화를 내거나 욕을 하면 안됩니다. 증상이 더 악화된다는 것만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스트레스를 이겨내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고 많은 칭찬으로 자신감을 증진시켜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2023.01.14 - [생활 정보] - 땅콩 알레르기, 아나필락시스 증상, 원인

2022.11.30 - [식물 지식] - 저열량 식품 가지의 8가지 효능과 부작용

2022.12.29 - [생활 정보] - 뇌성마비 증상과 원인 꼼꼼하게 정리

2023.01.12 - [생활 정보] - 반응성 애착장애 원인, 증상, 치료 방법

2023.01.13 - [생활 정보] - 편도염 증상, 원인, 치료 예방 방법

 

편도염 증상, 원인, 치료 예방 방법

편도염이 있는 사람들에게 나타날 수 있는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인후통, 붉고 부어오르고 통증이 있는 편도선, 때때로 흰색 반점이나 고름이 있음, 열, 삼키는 것의 어려움 또는 통증, 두통, 목

dizl4862.tistory.com

 

반응성 애착장애 원인, 증상, 치료 방법

애착장애를 지닌 아동은 인지발달과 언어발달이 늦어지거나 동일한 행동을 반복하는 행동문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또한 아동 우울증상을 포함하여 다른 장애가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주의

dizl4862.tistory.com

 

뇌성마비 증상과 원인 꼼꼼하게 정리

뇌성마비 원인 뇌성마비 ‘뇌성’이란 ‘뇌의 이상에 의한 혹은 뇌에 원인이 있는’이라는 의미이며, 마비란 ‘근육의 조절이 잘 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뇌혈관장애, 중독성, 신진대

dizl4862.tistory.com

 

저열량 식품 가지의 8가지 효능과 부작용

저열량 식품 가지의 8가지 효능과 부작용 가지란? 가지는 속씨식물 쌍떡잎식물 가지목 가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 채소입니다. 원산지는 인도이며 식용으로 많이 사용합니다. 색깔은 은은한

dizl4862.tistory.com

 

땅콩 알레르기, 아나필락시스 증상, 원인

땅콩은 계란, 생선, 우유, 견과류, 조개류, 콩, 밀과 함께 "8대" 식품 알레르기에 속합니다. 소아과 의사의 조언이 없는 한 아기에게 땅콩기름이나 땅콩버터가 들어 있는 음식을 먹여서는 안 됩니

dizl4862.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