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도염이 있는 사람들에게 나타날 수 있는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인후통, 붉고 부어오르고 통증이 있는 편도선, 때때로 흰색 반점이나 고름이 있음, 열, 삼키는 것의 어려움 또는 통증, 두통, 목의 부은 림프절, 식욕 감퇴, 깁누 저하, 구취, 쉰 목소리, 뻣뻣한 목, 귀의 통증 등입니다.
편도염
편도염 원인
급성 편도염은 청년기나 성인들에게서 발병률이 높은데 그이 유로는 대사성 질환이나 피로감, 면역질환 등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미취학 아동의 경우 아이들에게는 바이러스가 원인이 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그 이후 아이들은 세균이 원인이라는 보고가 있습니다. 노령층에는 상대적으로 발병률이 적다고 합니다.
편도염 증상
편도염은 크게 급성 편도염과 만성 편도염으로 구분되며, 만성 편도염은 목 안 이물감, 코골이 외에 크게 불편한 증상은 없습니다.
편도염은 목감기 증상과 비슷하지만, 통증이 심하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급성과 만성 편도염으로 나뉘게 되며, 고열과 오한 증상이 나타나고 목이 아프고 음식을 삼킬 때 통증이 유발됩니다.
또한 인후통, 위약감, 두통, 관절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고열이 나고 목이 부어요 급성 편도선염은 염증으로 인해 생긴 증상과 기도 폐색으로 인해 생긴 증상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아이가 발병하는 편도선염의 대부분은 급성 편도염으로 38℃ 이상의 갑작스러운 발열, 인후통 등을 비롯해 피로감, 두통, 오한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또한 만성 편도염이 있는 경우는 가벼운 목의 붓기와 통증, 미열 등의 가벼운 증상에서 무거운 증상이 나타나기 쉬운 급성 편도염의 증상까지 증상의 향방에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곤란한 것이, 목의 붓기와 통증때문에 음식과 음료를 섭취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어린아이의 경우는 편도선의 붓는 편이 현저하게 드러나기 때문에 그 통증으로 마시는 것조차 싫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수분 만큼은 확실하게 보급하지 않으면 탈수 증상이 일어날 확률이 높아 지므로 가급적 수분만큼은 섭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1. 목에는 여러 개의 림프절이 있으며 편도염이 심해지면 목의 림프절이 같이 커지게 됩니다. 턱 아래쪽, 목 옆에 작은 멍물이 만져지고 눌렀을 때 통증이 있습니다.
- 2. 입안을 보면 편도 주위가 붉게 충혈되어 있고 편도가 커지면서 하얀 삼출액이 붙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3. 음식을 삼킬 때 통증이 있습니다.
- 4. 갑자기 시작되는 40도 가까이의 고열과 오한이 있은 후 목 안 통증이 발생합니다.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으로 대체로 청소년기, 젊은 층에 잘 생깁니다. 또한 감기 이후에 발생하게 됩니다. 급성 편도염 증상으로는 목 안 통증이 있으며, 염증이 심해질 경우 침을 삼킬 때뿐만 아니라 음식물을 넘길 때도 통증이 심해 식사를 제대로 할 수 없게 됩니다.
편도염 예방 방법
편도선염에 대한 모든 것. 편도염을 예방하려면 평소 물을 충분히 섭취하고 구강청결을 유지해 편도 점막이 건조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입 호흡은 직접 공기를 목에 보내는 것이기에 편도선염의 원인 균의 증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코로 호흡을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또한 실내 습도도 중요하지만 목 자체가 건조하여도 바이러스나 세균이 번식하기 쉬워집니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외출 시에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자주 수분을 섭취하는 것에 신경 쓰도록 합시다.
- 1. 만성 편도염이나 편도 비대가 있는 분은 과로, 과음, 스트레스를 줄여서 면역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세요.
- 2. 편도 점막이 건조해지면 먼지를 걸러내지 못해서 먼지 속 바이러스와 세균으로 인해 편도염이 발생할 수 있어요. 충분히 물을 마셔 편도 점막을 촉촉하게 해 주세요.
- 3. 편도염 예방을 위해서는 외출 후 돌아와 소금물이나 구강 가글제를 이용해 목을 헹궈 구강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된답니다. 식사 후 양치를 하고 가글을 이용해 구강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으로도 편도염을 예방할 수 있으니 특히 황사나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는 양치나 가글로 입안을 청결하게 유지해 주세요.
- 4. 외출할 때는 마스크를 착용하세요. 황사가 심하면 건강한 사람도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보건용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답니다.
- 5. 환절기일수록 손을 자주 씻어 청결을 유지해야 합니다. 손씩기는 감염병의 70%를 예방해 주는 가장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예방법이에요. 치료에 앞서 가장 중요한 건 편도염을 예방하는 것인데요. 특히 환절기에는 편도염이 기승을 부리기 때문에 편도선염 치료, 예방에 신경 써야 합니다.
편도염 치료 방법
바이러스가 원인 인 경우는 항생제를 투여해도 편도염은 개선할 수 없기 때문에, 그 바이러스에 대응할 수 있는 약물에 의한 치료가 이루어집니다.
바이러스가 원인이라 해도, 편도선염 증상이 나타나는 방식이 세균과 거의 같아서, 발열과 인후통에 대한 비 스테로이드 성 진통제에 의해 치료가 행해집니다. 또한 붓기가 있는 목에 대해서는 항염증제에 의한 치료가 이루어집니다.
또한 균 중에서도 "용혈성 연쇄상구균"의 경우에는 15분 정도의 짧은 시간에 발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편도선염은 그 발병 원인에 따라 대처 방법이 다르지만, 어떠한 경우에도 내복약에 의한 치료는 행해집니다.
수술적 치료에는 편도 절제술이 있습니다. 편도 절제술은 다른 치료방법을 충분히 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급성 편도염이 계속 재발하거나 일 년에 3회 이상 재발하는 경우 편도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편도 주위에 농양이 생긴 경우에도 수술의 대상이 되기는 하지만 급성기 때는 부작용을 고려하여 이후 급성기 때를 피해서 수술을 진행하게 됩니다.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후통 증상, 원인, 치료, 인후통에 좋은 음식 (0) | 2023.01.13 |
---|---|
인후염 증상, 원인, 예방, 인후염에 좋은 음식 (0) | 2023.01.13 |
가래 생기는 이유, 가래 증상 완화 방법 (0) | 2023.01.13 |
목감기 증상, 목감기 빨리 낫는 법 (0) | 2023.01.13 |
치아 변색 원인, 치아 미백 민간요법 (0) | 2023.01.13 |